생활정보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lynlyn536c8 2025. 7. 20.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현황 가이드

전국 인구감소지역 89개 중 도시 자치구 5곳을 제외한 농어촌 특성 84개 시·군 집중 분석 · 추가지원(민생회복 소비쿠폰 +5만원) 전략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이란?

행정안전부가 인구소멸위험지수(20~39세 여성 인구 ÷ 65세 이상 인구) 0.5 미만 등 복합지표를 토대로 지정한 고위험 농어촌 지역. 청년·여성 유출 + 고령화 심화로 지역 활력 약화가 누적된 곳.

지정 기준과 의미

인구소멸위험지수 공식

(20~39세 여성 인구수) ÷ (65세 이상 인구수). 0.5 미만 소멸위험.

지정 핵심 요인

청년 여성 유출, 고령화율 상승, 지속 인구 자연감소, 경제활력 저하.

정책적 의미

국가·지자체의 재정·정주여건·창업·모빌리티 집중 지원 우선순위 부여.

🔎 등급 활용(참고)

0.5 미만: 소멸위험 · 0.5~0.7: 주의 · 0.7 이상: 상대적 안정 (정책 설계 시 우선 순위 판단 참고)

시골은 민생지원금 얼마?

 

84개 시군 전체 명단

(여기에 목록 관련 추가 주석/업데이트 내용 입력)

광역시·도별 84개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목록 (도시 자치구 제외) – 모바일 좌우 스크롤 가능

광역시·도 개수 해당 시군
대구 1 군위군
인천 2 강화군, 옹진군
경기 2 가평군, 연천군
강원 12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충북 6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충남 9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전북 10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전남 16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경북 15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경남 11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분포 핵심

전남(16) · 경북(15) · 강원(12) 집중 → 산간·도서·내륙 심층부 접근성/청년정착 취약

공통 특성과 문제점

(공통 특성 관련 추가 코멘트 작성 영역)
저밀도·고령화

65세 이상 비중 전국 평균 크게 상회.

청년·여성 유출

교육·일자리 부족 → 장기 전출 가속.

산업 단순성

농업·어업 중심, 부가가치 낮음.

인프라 격차

의료·문화·교통 서비스 접근성 낮음.

재정 의존도

국·도비 보조 의존 → 자생력 취약.

구조적 위험

인구 기초 저하 → 지방세 축소 → 서비스 약화 → 추가 유출 악순환

정부 지원 정책 패키지

지방소멸대응기금

연차별 투자로 정주·청년창업·주거 복합 개선.

모빌리티 혁신

DRT·온디맨드 교통으로 이동격차 완화.

규제특례/자율구역

농지·입지 규제 완화로 투자 유도.

생활인구 확대

체류형 복합단지·로컬 워케이션.

청년 주거·창업

임대주택·혁신거점·로컬벤처 펀드.

전략 포인트

정책 패키지는 ‘정주 + 일자리 + 이동 + 규제’ 4축을 동시에 다룰 때 효과 배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추가 5만원 구조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거주자는 기본 지급액 외 5만원 추가 (거주지 행정 구역 주소 기준)

구분 기본 총액 농어촌 추가 최대 수령
기초생활수급자 50만 원 5만 원 55만 원
차상위·한부모 40만 원 5만 원 45만 원
일반 국민 25만 원 5만 원 30만 원
소득 상위 10% 15만 원 (추가 제외) 15만 원

주소 기준

주민등록상 거주지가 해당 84개 시·군이면 자동 추가분 대상 (신청 시 시스템 판별).

내 민생 지원금 계산

미래 전망과 핵심 과제

심각성

전국 읍·면 52% 이상이 소멸위험·고위험 군에 접속하고 다수 도농복합 시·군도 위험권 진입 → 구조적 대응 필수.

① 일자리

농식품+디지털 전환·그린에너지 융합.

② 정주환경

보건·문화 복합거점·스마트의료.

③ 교통/모빌리티

수요응답형·친환경차 전환.

④ 인구유입

청년창업+귀농귀촌 패키지.

⑤ 디지털 전환

공공·물류·돌봄 서비스 스마트화.

법·제도 프레임

인구감소대응 특별법 기반 다년도 로드맵 → 지역별 차별화 과제(청년·모빌리티·정주) 점검 필수.

실행 체크리스트

지자체·정책 실무 점검

  • 위험지수 추이 모니터링
  • 청년 정착 패키지 현황
  • 모빌리티 시범사업 참여
  • 생활SOC 복합화 추진
  • 추가 5만원 대상 홍보
  • 규제특례 활용 계획
지원 총괄

기초 55만 · 차상위 45만 · 일반 30만 (농어촌 추가 적용 시)

문의 요약

1670-2525 · 110 (국민콜) · 지자체 콜센터

활용 팁

분포표 + 추가지원 표를 한 화면에 배치하여 주민 안내 자료(리플릿/블로그)로 전환 가능.

지금 주소지 추가 5만원 대상 여부 확인

마지막 체크

주소지 84개 시·군 여부 · 신청 기한 · 고위험 전략과제(일자리/정주/모빌리티) 동시 추진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정보 요약

전남·경북·강원 집중 · 추가 5만원 소비쿠폰 · 다축 정책 패키지 필요

자료: 행정안전부 지정 기준 (2025년) · 정책 안내 목적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84개 시군, 인구소멸위험지수, 농어촌 추가지원, 지방소멸대응기금, 청년정착, 모빌리티 혁신, 귀농귀촌, 소비쿠폰 추가5만원, 지역활성화

 

 

 

0123456789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에 심는 채소  (0) 2025.07.20
고추 약치는 주기  (0) 2025.07.20
고추 병충해 종류  (0) 2025.07.20
소비쿠폰 지급 방법  (0) 2025.07.20
닭한마리 레시피 만들기  (1) 2025.07.20
가지볶음 황금레시피  (1) 2025.07.20
아보카도 보관법  (0) 2025.07.20
마늘쫑장아찌 맛있게 담그는법  (0) 2025.07.20

댓글